목록Face the fear, build the future (106)
Silver Library
https://www.toptal.com/nodejs/why-the-hell-would-i-use-node-js Why The Hell Would I Use Node.js? A Case-by-Case Tutorial Node.js was never created to solve the compute scaling problem. It was created to solve the I/O scaling problem. Find out why, with case-by-case tutorial. www.toptal.com
지금 까지 알고 있었던 react props 는 오직, document 에 예시로 올라온 그 props 만 알고 있었습니다. 아래의 이 코드들 말이죠. function Welcome(props) { return Hello, {props.name}; } class Welcome extends React.Component { render() { return Hello, {this.props.name}; } } 그리고 컴포넌트 렌더링은 이런 식으로 예시가 나와있습니다. function Welcome(props) { return Hello, {props.name}; } const element = ;ReactDOM.render( element, document.getElementById('root') ); 그런..
개요. '지금이라면 티스토리도 그냥 구조만 조금 알고나면 바로 원하는 기능 들을 넣어서 customising 가능할텐데?' 였다. 비록 디자인 학과가 아니면 어떤가. 미적 감각은 최대한 css 로 전부 뒤덮어서 해결하면 포토샵에 전적으로 의존 안 해도 어느정도는 커버 가능 할 거라는 판단이 생겼다. 아니, 사실 css 와 js, html 정도가 전부 일 것이다. 그렇다면 나머지 일은 tistory 서버와의 연동, 구성 정도라고 추측이 된다. 목표는 하나다. 1. 유료가 아니라는 전제하에, 5시나 7시 방향에 메신저 채팅 창 하나 만들어보기. 만약 유료라면, 방명록을 변조해서 (비실시간) 메신저 같은 형태로 UI 구축. 기존의 현재 스킨(#2, 또는 Poster)에다가 적용 해 보면 어떨까 싶다. 메뉴 U..
부제만 봐도 마치 필자가 처음 영어를 배울 때 느끼던 보이지 않는 통곡의 벽을 보는 기분이다. 하지만,이것도 결국 방향만 매번 빠르게 잘 잡으면 생각보다 빨리 해결 할 수 있을 거라고 본다. 여기서 짧게 변명을 해 보자면, '개발자는 시간 관계상이란 이유 때문에라도 다들 구글링 해서 코드 갖다 붙여서 적절히 조합해서 쓰지, 스스로 코딩 하는 경우는 없다' 라는 말을 믿었던 점 이었다고 할까. 할말은 많지만 여기까지. 자, 이제 이 관문을 해결 해보자. 우선, react 부터 javascript 로 가보겠다. react 의 경우, 파일구조를 참고 해 보도록 하자. 파일 구조 – React A JavaScript library for building user interfaces ko.reactjs.org 그..